남해군, 섬진강 환경행정협의회국비 확보로 추진사업 탄력
남해군, 섬진강 환경행정협의회국비 확보로 추진사업 탄력
  • 박봉묵
  • 승인 2014.06.16 13: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연경관 생태관리 학술용역 및 유역 발전 마스트플랜 수립 용역비

 [남해/남도인터넷방송] 섬진강 환경보전과 섬진강 유역 시․군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섬진강 환경행정협의회(회장 정현태 남해군수, 이하 섬진강 협의회)의 노력이 드디어 첫 결실을 맺었다.

섬진강 협의회는 그동안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던 섬진강 자연경관보전 학술용역과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의 예산 20억 원을 지원받게 됐다고 16일 밝혔다.

협의회는 지난해 9월 국회 정론관에서 섬진강 선언을 통해 섬진강의 생태환경 보존과 지역 발전을 위한 학술용역이 필요하다는 의사를 정부에 전달했고, 정부는 동서통합지대 조성사업에 이를 수용해 내년부터 매년 5억 원, 4년 동안 총 20억의 예산을 지원키로 했다.

그간 섬진강은 크기로는 4대강에 속하지만 유역에 큰 도시가 없기 때문에 영산강에 그 자리를 내주고 박정희 정부의 국토개발 5개년 계획이나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종합개발에 포함되지 않아 사실상 정부의 관심에서 소외돼 있었다.

또 섬진강의 풍부하고 깨끗한 수원은 댐이나 인공수로를 따라 인근의 영산강, 광주천, 보성강 등으로 유입되면서 정작 섬진강의 본류에는 수량이 부족해 하류인 하동, 광양, 남해 등에서는 염해피해와 생태계 변화라는 아픔을 겪어 왔다.

이에 2013년 제7대 회장으로 취임한 정현태 남해군수는 이런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코자 중앙정부의 공무원, 전문가, 국회의원, 지역주민 등과 함께 수차례의 토론회와 워크숍을 개최해 하나된 목소리를 섬진강 선언에 담아냈고 끈질긴 건의와 정책협의를 통해 마침내 섬진강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이끌어 냈다.

사업은 정부지원 20억과 지방비 20억을 합쳐 총 40억 원의 예산으로 운영되는데, 1차 사업으로 섬진강의 자연경관과 생태관리 학술용역을 실시하고 2차로 섬진강 유역과 지역민의 발전을 위한 마스트플랜 수립용역을 시행할 계획이다. 용역사업이 정부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업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 정책, 개발계획 등이 실현가능하고 파급력 또한 높다는 분석이다.

남해군 관계자는 “전국 하위 50위 자치단체 중에 섬진강 유역의 10개 자치단체가 포함돼 있을 정도로 섬진강 주변은 낙후돼 있다. 하지만 이번 예산 확보를 계기로 우리 섬진강 환경행정 협의회는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섬진강에 실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 남해, 지난해 국회정론관섬진강선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