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남도인터넷방송]전라남도(도지사 이낙연)가 사회적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기업체를 육성해 이들 기업들이 2018년까지 일자리 7천 개를 보유한 ‘일자리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도록 대대적인 지원체제 정비에 나선다.
7일 전남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 활동 중인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등 512개 사회적경제 기업체에서 3천500여 명을 고용하고 있다. 전남도는 2015년부터 4년간 이들 사회적경제 영역의 일자리를 두 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일자리정책실을 신설, 정책실 내에 사회적경제를 전담하는 ‘사회적기업팀(1개 팀 4명)’을 운영키로 했다.
특히 이낙연 도지사의 일자리 창출 공약 중 하나인 ‘사회적경제 육성을 위한 통합지원조례’를 올 하반기 중 제정, ‘사회적경제 통합지원센터’와 ‘사회적경제 육성기금’을 운영할 방침이다. 통합지원체제 구축 시 각 기업 유형별로 산재한 지원체제를 일원화함으로써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로 했다.
전남도는 통합 지원체제 운영으로 지금까지 사회적기업에 편중된 행정․재정 지원이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에까지 확대돼 이들 기업들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협동조합은 자주․자립이 원칙이라는 전제하에 지금까지 직접적인 지원을 지양해왔으나 협동조합에 대해서도 마을기업 수준의 지원을 함으로써 규모화가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또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신제품 개발, 장비 구입, 시장 개척 등에 필요한 자금을 융자지원하거나 신용보증을 지원하기 위해 200억 원 이상 규모로 사회적경제 육성기금을 연차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기금 조성이 완료되기 전에는 금융기관 등과 협약을 통해 저리 융자자금과 신용보증을 지원토록 도비 부담으로 신용보증료 일부 지원과 이차보전을 추진키로 했다.
전남도는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인한 일자리난 심화, 고령화․양극화․다문화가정 증가 등으로 사회서비스 수요 팽창, 농업의 6차 산업화로 전환 필요성 증대 등 세 마리 토끼를 잡는데 사회적경제 조직 육성이 가장 유효한 대안이라는 판단해 이같은 대책을 세웠다.
한편 현재 전남도에서 활동 중인 사회적경제 기업은 유형별로 사회적기업 109개, 마을기업 110개, 협동조합 189개 자활기업 104개로 이들 기업에서 3천500여 명을 고용하고 있다.